클래식 스타일 vs 재즈스타일
“너희들은 내 악기야. 난 오케스트라라는 악기를 연주하는 거고 너희들은 그 부속품이라고! 늙은 악기, 젊은 악기, 울며 뛰쳐나간 똥 덩어리 악기, 카바레 악기, 회사 다니는 악기, 대드는 악기! 아니! 너희들은 그냥 개야! 난 주인이고! 그러니까 잔말 말고 시키는 대로나 짖으란 말이야!"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 중에서)
강마에는 부르짖는다. 처음엔 단원이 반발하다가 나중에는 그에게 복종하게 된다. 그는 너무나 탁월했고 무엇보다 그들 개개인으로서는 그 어떤 연주도 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1세기 웹 2.0 시대에 강마에와 같은 리더를 만나게 된다면 그 회사의 직원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너는 그냥 짖었을 뿐이고 난 그저 내 할 일을 할 뿐이고.” 아마 싸늘한 반응 혹은 반응 자체가 없을 것이다.
강마에 식 리더십은 정주영 회장의 밀어붙이는 불도저 정신이 통하는 산업화 시대에는 소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의 시대에서 이런 스타일로는 정말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1991년 100대 기업 중에서 현재까지 살아남은 기업은 고작 20여 개에 불과하다. 몰락한 기업들의 실패요인은 무엇보다 그룹 총수와 최고경영자(CEO)들의 황제 경영, 독재 경영이 문제였다. 한보그룹과 대우그룹은 ‘정태수 회장’과 ‘김우중 회장’이라는 걸출한 창업자의 능력 때문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곧 이들의 독선 경영으로 결국 파국을 맞았다. 대우그룹의 경우 김 회장의 “OK” 한 마디면 모든 것이 통했다.
다른 경쟁 기업들이 외환위기를 맞아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할 때도 대우는 김 회장의 진두지휘로 과거 1960~ 1970년대식 확장경영에 나서 몸집을 불렸고, IT 등 미래산업보다는 건설, 자동차 등 기존 사업에 돈을 쏟아 부었다. 이 같은 독단경영은 방만한 경영과 함께 재무 건전성 부족에 따른 과도한 부채를 초래하게 마련이다.
- 매일경제 2008. 8. 1자 기사 ‘그들은 왜 몰락했나’
산업화 시대에서는 클래식 오케스트라처럼 악보를 보고 지휘자가 시키는 대로 하면 별 문제가 없이 회사를 꾸려나갈 수 있었다. 세상 많은 것이 예측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혜안이 있고 능력이 탁월한 강력한 리더가 이끄는 데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어쩌면 더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앞으로의 시대가 예측이 불가능한 시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리더의 능력이 아무리 탁월하다 하더라도 한 사람이 커버하기에는 불가능한, 너무나 많고 다양한 돌발적인 상황이 항시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신문기사에도 예시했듯이 한 시대를 풍미했던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이 하루아침에 무너졌고 많은 젊은이들로부터 존경과 선망의 대상이었던 회장님은 쓸쓸하고 비참한 말로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이 모든 과오가 그의 독단적인 경영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다.
재즈스타일의 등장
클래식 음악과 대조적인 음악 형태가 있다. 그것은 재즈다.
재즈가 클래식 음악과 가장 다른 점은 우선 악보가 그다지 필요 없다는 것이다.
설령 악보가 있더라도 재즈연주가는 악보대로 연주하지 않는다. 악보대로 연주하는 순간 그것은 이미 재즈가 아니기 때문이다. 재즈는 즉흥연주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음악이다. 함께 연주하는 타 연주가에 따라서 그날 청중의 분위기에 따라서 그리고 그날 내 컨디션에 따라서도 연주가 달라진다. 나에게 불특정적으로 쏟아지는 여러 신호를 받아 순간적으로 내 반응(연주)을 이끌어내는 음악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따로 리더도 없는 경우도 많다.
서로 연주를 해나가면서 곡의 흐름에 따라 때로는 내가 리더가 되기도 하고 다른 악기가 리더가 되기도 한다. 어떤 테마에 대해 일방적인 리더의 지시가 아닌 연주에 참가한 멤버들이 자발적으로 순간순간 판단해나가면서 연주한다. 여러 악기가 그리는 큰 그림 속의 자신 역할을 파악해나가면서 쉴 새 없이 포지셔닝을 해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음악을 예상할 수 없으며, 오히려 예측불허한 상황을 즐기고 새롭게 펼쳐지는 상황에 따라 음악을 즉흥적으로 창조해나가는 것이 바로 재즈가 갖는 매력이다.
지금 시대는 하루가 멀다 하고 신기술이 나오고 전 세계의 문화, 경제, 사회 등이 분열, 재조립, 통합되어가면서 변화와 혁신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그만큼 미래를 예측하기가 어렵게 되었고 모든 것이 불확실한 상황 속에 놓이게 되었다. 이 즈음해서 재즈가 갖고 있는 특성은 설득력 있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다가온다.
기업은 불확실한 상황에 강한 조직이 필요하다. 클래식 스타일은 불확실성을 감내하지 못한다. 악보처럼 이미 정해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악보가 없는 한 클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즉흥적이고 자유로우면서 서로 기본 룰을 지켜나가는 ‘재즈스타일’형 조직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21세기 경영자도 재즈연주가처럼 불확실성을 두려워하지 않고, 벌어지는 다양한 돌발상황과 전 세계로부터의 수많은 마이크로트렌드에 대하여 즐기듯 대응해야 하는 시대다. 조직의 직원들에게도 일방적인 지시가 아닌 자발적인 참여와 때로는 주인의식마저 이끌어 내야 하는 능력이 앞으로의 리더에게 요구되는 덕목인 것이다.
앞으로 생존과 번영의 핵심 키워드는 창조다. 창조가 태어날 수 있는 풍토를 만드는 것이 꼭 필요한 시대적 요구이다. 그 풍토는 맞다 틀리다 따지며 사는 것보다는, 그리고 틀리지 않으려고 안정적이고 무미건조한 삶을 사는 것보다는, 좀 실수하고 실패하더라도 다이내믹하고 다양한 이야기꺼리가 많은 풍요로운 삶을 사는 스타일에서 비롯된다. 실수를 또 다른 창조의 실마리로 만드는 재즈스타일 말이다.
'전진용의 재즈경영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즈경영 코스 (0) | 2011.10.12 |
---|---|
재즈라이프스타일 코스 (0) | 2011.10.12 |
재즈테라피 코스 (0) | 2011.10.12 |
[재즈스타일] 환상의 ‘안정’을 벗어나 재즈스타일의 ‘안정’으로 진입하라 (0) | 2010.04.19 |
[재즈스타일] 이젠 그만 악보를 찢고 네 자신이 악보가 되어라 (1) | 2010.04.19 |